[Classification: ] 도자기
발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발-30/발, 일본에서 다완으로 사용되었음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발-일본에서-다완으로-사용되었음-2/긴 목 상감 무늬 화병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긴-목-상감-무늬-화병/항아리 모양 다완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항아리-모양-다완/다완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다완-8/다완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다완-9/차 용기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차-용기/소형 항아리, 차 용기로 사용됨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소형-항아리-차-용기로-사용됨/고려 상감 청자 양식의 다완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고려-상감-청자-양식의-다완/모란무늬 양각 발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모란무늬-양각-발-2/고려 청자 양식의 다완, Chasen-susugi로 명명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고려-청자-양식의-다완-chasen-susugi로-명명/항아리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항아리-12/한국 전통 발을 모방한 발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한국-전통-발을-모방한-발/항아리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항아리-13/다완, 미시마 유형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다완-미시마-유형/발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발-31/버드나무와 연꽃 무늬 상감 병
https://asia.si.edu/ko/object/버드나무와-연꽃-무늬-상감-병/표주박 모양 병, 밖으로 벌어진 입을 금색 옻칠 수리, 아주 낮은 굽 몸체 표면의 유약이 마무리가 거침, 일부 유약 표면에 갈라진 틈이 많음. 태토: 회색 자기, 소성 시 노출되어 유약이 벗겨진 표면은 산화철 적색임. 유약: 투명하고 광택이 나며 연한 청자유, 균일하지 않은 흐름, 촘촘하게 갈라진 틈, 사질 가마 부착물이 있는 굽과 받침 일부에 시유. 문양: …